
비급여 항목
비급여 항목이란 뭘까요? 건강 보험 적용이 되는 치료를 제외한 모든 치료를 말합니다. 사설 치과 보험을 들어서 일부를 보장 받는 등, 결과적으로는 100% 제 돈을 들여서 하는 치료들을 의미하죠.😥 치과 치료 중, 비급여 치료를 대표적으로 꼽아보자면 바로 보철 치료와 보존 치료가 있죠. 이외에도 자주 행해지는 비급여 치료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😉
브릿지, 크라운 치료
임플란트 대신에 양쪽 치아를 깎아서 치아 모양을 만들어내는 것을 브릿지라고 부르고, 충치의 상당 부분을 깎아내어 치아 역할을 대신 해줄 인공물을 씌우는 것을 크라운 치료라고 부릅니다. 대표적인 보철 치료이죠.😉 병원에서 정말 자주 행해지는 치료인데도, 아직까지는 비급여로 구분되고 있습니다.🙄 대표적인 크라운 치료의 평균 가격을 알아볼까요? 아래 표는 건강보험심평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료인데요. 골드 크라운 가격입니다. 공개하고 있는 비용은 1치아 기준이며, 골드 크라운은 경우에는 금함량에 따라서 가격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.
의료 기간 구분 | 최저 금액 | 평균 금액 | 최고 금액 |
상급 종합 | 317,050 원 | 584,524 원 | 1,209,000 원 |
종합 병원 | 300,000 원 | 511,423 원 | 890,000 원 |
치과 병원 | 250,000 원 | 565,445 원 | 915,600 원 |
*건강보험심평원 제공, 1치아 기준 골드 크라운
비급여이기 때문에 치아당 가격이 꽤 나가는 편이네요.😁 평균적으로도 약 50만원~60만원 사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. 올세라믹 크라운의 경우도 한 번 볼까요? 아래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, 올세라믹의 경우에는 앞서 말씀드린 골드 크라운보다 가격이 조금 더 나가는 편입니다.
의료 기간 구분 | 최저 금액 | 평균 금액 | 최고 금액 |
상급 종합 | 350,000 원 | 733,172 원 | 1,885,000 원 |
종합 병원 | 350,000 원 | 578,398 원 | 940,000 원 |
치과 병원 | 258,000 원 | 641,054 원 | 1,727,450 원 |
치과 의원 | 200,000 원 | 568,292 원 | 3,6000,000 원 |
*건강보험심평원 제공, 1치아 기준 올세라믹

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치료
레진도 정말 많이 행해지고 있는 치료인데요. 이 또한 비급여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 만 12세 이하의 어린아이들은 영구치에 한해 급여로 보험 적용이 되고 있는 반면, 성인들에게는 아직은…😂 레진 충전 치료같은 경우에는 충치가 이환된 치아의 면수에 따라 가격이 조금씩 다른데요. 1~3면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 오늘은 1치아 우식 1면을 기준으로 가격을 한 번 알아볼까요?의원급이 병원급들에 비해 저렴한 편이긴 합니다.
의료 기간 구분 | 최저 금액 | 평균 금액 | 최고 금액 |
상급 종합 | 30,000 원 | 110,596 원 | 228,600 원 |
종합 병원 | 30,000 원 | 92,465 원 | 300,000 원 |
치과 병원 | 30,000 원 | 103,647 원 | 300,000 원 |
치과 의원 | 10,000 원 | 87,743 원 | 500,000 원 |
*건강보험심평원 제공, 1치아 기준 우식 1면 기준 레진
임플란트
임플란트도 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경우에만, 그것도 평생동안 단 2개까지만 급여로 적용이 되고 나머지는 모두 비급여로 처리됩니다. 임플란트를 해야 할 치아가 평생 2개뿐인 것도 아닌데 말이죠. 심지어 재료도 한정적으로 급여 처리를 해주고 있습니다. 또한 골이식 등과 같은 추가적인 치료들은 모두 비급여이므로, 환자 몫으로 되어있다는 점도 어느정도 인지해주셔야 합니다.😥 또한 치아가 하나도 없는데 임플란트를 해야하는 경우가 있죠? 이런 경우에도 급여로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모두 비급여로 시술받으셔야 합니다.💵
치아 교정
교정 진단비, 월 치료비, 유지 창지 등… 교정도 참 많은 치료비가 들어가는데요.😥 치아 교정도 대표적인 비급여 항목 중 하나입니다. 만약 치과 교정 중 생긴 문제로 약 처방을 받는다해도, 이 약들 또한 급여로 처리되지 않고 비급여로 처리됩니다. 교정 치료 자체가 비급여 치료이기 때문이죠. 교정 치료가 비급여 이기때문에 치과 진료비에서 일부 할인을 하는 치과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. 임플란트도 일부 치과에서 할인하는 이유가 바로 비급여이기 때문이죠.
틀니
틀니 또한 비급여 진료 중 하나입니다. 임플란트와 마찬가지로 만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급여로 보험 적용이 가능한데요. 이는 7년에 1번씩 갱신이 가능하기 때문에, 그 이전에 틀니에 문제가 생겨 치과에 방문하게 되면 전부 비급여로 처리된답니다.😂 즉, 100% 본인 부담으로 처리를 해야하는 부분들이 되겠죠. 하지만, 급여 설명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듯이, 7년 이내라도 환자의 구강 상태가 심각하게 변화되어서 새로운 틀니가 필요하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1회의 추가 급여가 가능합니다.😄

마무리하며
위에 표를 보셨듯, 아직까지는 치과 치료 비용은 본인 부담률이 다소 높은 편입니다. 이번 공개된 치과 치료 비급여 가격 자료들은 병원급은 물론 의원급도 전국 1만 7981개 중 1만 7136개의 기관이 참여해 95.3%의 자료 제출률을 보였다고 합니다. 복지부 의료보장관리 과장은 우리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비급여 가격 공개 제도 개선을 위해 계속 노력해주시겠다고 말씀하셨어요. 사설 치아 보험을 들지 않고도 부담 없이 치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날이 얼른 왔으면 좋겠습니다.😊
@궁금치 ggchi.info (무단복제 및 전재, 재배포를 금지합니다.)